파...로 시작되는 단어들(기타상식)
- 파레토법칙 : 파레토 법칙은 소득분포에 관한 통계적법칙으로서, 파레토가 유럽제국 의 조사에서 얻은 경험적 법칙이다. 파레토곡선의 기울기 α는 소득분포의 불평등도 degree of inequality를 보이는 하나의 척도이다. 파레토는 α가 작을수록 분포가 평등하다고 하였으나, 지니 이후의 많은 연구에 의하면 α가 클수록 소득의 균등화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불평등의 정의에서 비롯되는 바가 크다. 파레토는 소득자 수에 주목하여 ‘χ이하의 소득이원이 χ이상의 소득인원에 비하여 감소할 때에 소득의 불평등이 감소된다’라고 정의한다. 파레토법칙이 완전한 타당성을 지니려면, 소득곡선은 직선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저소득층에 가까울수록 곡선은 굴절하여 수평선에 가깝게 되 것, 따라서 α가 불평등의 척도로 타당하냐 하는 데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EBS 세상의 모든백과에는 꼬리는 왜 힘이 쎌까? 라는 이름으로 소개 되었음)
- 프라브족(PRAV, Proud Realisers of Added Value) : 가격 대비 만족도와 성능을 중시하면 상품의 가격, 품질, 만족도 등을 꼼꼼히 따지는 소비자를 지칭한다. 가치소비족이라고도 한다.(20171017/트렌드코리아2017/p104)
- 퍼네이션(funation) : 영어단어 fun과 donation의 합성어로 기부와 즐거움의 만족을 배가시키는 새로운 이타주의를 지향한다. (20171017/트렌드코리아2017/p117)
- 페이크슈머(Fakesumer) : 가치 있는 가짜를 소비하는 것이로, 진짜 대신 대체할 수 있는 것을 구매함으로써 만족을 느끼는 '페이크소비'는 저렴한 가격에 적절한 품질을 뜻하는 가성비를 추구하는 심리와 겹치는 속성이 있다.(20171017/트렌드코리아2017/p252)
- 페르소나(Persona) : 마케팅적 의미로 페르소나는 어떤 제품 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만한 목표 인구 집단 안에 있는 다양한 사용자 유형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로 시장과 환경. 사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정한 상황과 환경 속에서 전형적인 인물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을 위해 실제 사용자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의 개성을 부여해 만들어진다.(20171017/트렌드코리아2017/p396)
- 피지털(phygital) 콘텐츠 : 물질적(Physical) 세계와 디지털(Digital)을 연결한 합성어로 VR영상을 단순히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활동 요소를 더한 컨텐츠(20171017/트렌드코리아2017/p386)